자, 잠시만 주변 풍경으로 눈과 귀를 돌려 주의를 기울여보자. 각종 사물과 소리가 여기저기서 깨어나는 듯한 기분이 들지는 않는가. 당신 또는 나의 ‘지금 여기’에 있는 것들, 이를테면 하늘과 땅, 그리고 그 둘을 이을 듯 큰 키를 위압적으로 자랑하는 건물들, 건물들 구석구석을 누비는 하지만 방향을 좇기에 난감할 정도로 얽히고설킨 전깃줄과, 전깃줄 아래를 오가는 다양한 표정의 얼굴들, 그리고 그 모든 것들 사이로 분주하게 흘러나오는 도시의 소리 같은 것. 무엇을 보고 듣고 또 느끼는지는 각자 다를 테지만, 보이고 들리는 크고 작은 것들로 세상이 이미 꽉 차있음은 명백해 보인다. 하기야 지구라는 땅덩이 자체가, 만물과 만물 사이를 오가는 무수한 감각 반응들이 한데 뭉쳐진 덩어리 아니겠는가.

우리 주변 곳곳에는 그렇게, 셀 수 없이 다양한 형태의 감각/지각 가능 대상들이 놓여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놀라운 한 가지 사실은, 또 다른 무언가를 보고 듣고 느끼려는 사람들로 극장은 여전히 붐빈다는 점이다. 소비를 유혹하는 메커니즘으로서의 멀티플렉스를 감안하더라도, 영화라는 것의 매력이 ‘아직까지는’ 그 유혹의 기본축일 터. 도대체 영화가 뭐길래! 우리를 그토록 끌어당기는가. 우리는 영화 안에서 무엇을 ‘보는가.’


영화 한 편은 일단 그 자체로 하나의 세계다. 보다 정확하게 말하자면 실재 세계에서 건져낸 가상의 세계다. 여기서 ‘가상’이라 함은 영화 속 시공간이 우리가 속한 현실과 닮았으되 현실에 실제로 존재하는 것은 아님을, ‘세계’라 함은 그 시공간이 여러 가지 플롯으로 엮여 물리적인 처음과 끝을 지닌 하나의 덩어리가 됨을 뜻한다. 따라서 우리는 영화를 직사각의 평면 틀에 재생되는, 유사-현실의 이미지 체계라 일단 정의 내릴 수 있다. 물론 그렇다고 해서 영화의 매력이 그저 ‘현실과 닮았거나 다르거나’ 하는 차원에만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앞서 말한 ‘실재 세계에서 건져낸 가상의 세계’라는 문구에서 남은 부분, 그러니까 ‘실재 세계에서 건져낸’이야말로, 영화의 정체에 관한 한 이곳에 등장하는 모든 언어 중 가장 핵심적인 것이다.

영화적 시공간을 건지는 것이 중요한 까닭은, 그것이 해당 영화의 존재 이유에 의해 진행되는 작업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재 세계에서 건져진 영화 이미지들은 곧 ‘이 영화가 왜 하필 여기에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한 영화 스스로의 대답들인 셈이다(영화의 윤리적 태도가 드러나지 않으면 안 되는 지점이 바로 여기다). 세상 곳곳에 수없이 놓인 유․무형의 감각/지각 가능 대상들 중 무엇으로써 영화를 메울지 결정하는 것. 그 과정은 ‘대상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음’의 증명을 위한 것이 되기도 하겠지만, 대상들에 깃든 문제적인 ‘틈’을 찾기 위한 고민을 동반하기도 한다. 전자와 달리 후자의 경우 그 결과로서의 영화 이미지는 단지 유사-현실 체계로만 부를 수 없는, 현실에 대해 다른 시선을 지닌 무언가가 된다.

그 시선이 가리키는 곳은 두 눈을 비비고 다시 한번 볼 필요가 있는 대상, 그래서 ‘지금 여기서’ 다시금 써봄직한 현실이다. 카메라가 부조리나 모호함을 끄집어내기 위해 무엇을 어떻게 담아야 할지 고민하며 지켜보던 현실 속 시공간을, 그 노력의 산물인 이미지가 다시금 바라보는 것이다. 진짜 현실 옆에 나란히 앉아 진짜를 향해 웃고 울고 화낼 줄 아는 영화는, 바로 그렇게 해서 등장한다. 예컨대 언어와 체제로 정착된 모든 질서를 빗겨가는 조도로프스키의 탐구적 이미지나, 상징계 바깥을 살아가는 사람들 또는 그들의 규정되지 않은 삶을 긍정하는 봉준호의 희비극 같은, 사유-현실 체계로서의 영화들. 우리가 속한 ‘지금 여기’에 보내는, 어떤 간곡한 ‘신호’ 같은 것들.


‘영화를 보다’라는 행위는 네모난 틀 안에 재생되는 이미지와 단지 맞닥뜨렸다고 끝나는 것이 아니다. 영화를 보는 동안 우리는 어떤 사람과 사물, 그리고 그 사이로 흐르는 심상들과 조우한다. 그것들은 모두 영화의 윤리적인 태도가 선택하고 기록하고 구성한, 현실로부터의 상상이나 흔적이다. 현실에서 무언가를 건져내고 그 건져낸 것들을 현실에서 재생해야 하는 운명을, 영화는 타고난 셈이다. 이미지가 빛에 몸을 맡긴 채 세상을 향해 흐르는 현장은, 따라서 프레임 안과 밖이 대화를 나누도록 초대된 장이기도 하다.

그리고 그 대화를 엿보고 엿들을 수 있다는 쾌감! 그 은밀한 쾌감이야말로 영화의 가장 매력적인 부분이거니와 영화를 본다는 것의 본질일 테다. 실재와는 조금 다른 곳에 서서, 다른 눈을 가지고, 다른 각도와 초점으로 세상과 마주하고픈 욕망이 그 덕에 충족되니 말이다. 그 욕망 때문에 우리는 지긋지긋한 현실로부터 탈출할 수 있으며, 때로는 지긋지긋한 현실과 다시 대면하기도 해야 한다. 어느 쪽이든 (극장을 나온 지 한참이 지난 후) 현실의 감각/지각 대상들 사이로 문득문득 지나가는 영화 이미지를 만나는 것은 반가운 경험이다. 프레임 안팎을 오가며 세상을 풍부하게 해준 그 대화가 여전히 내 귓가에 맴돌고 있음을 확인케 되니 말이다. 지극히 사적인 경험이지만, 그 자체로 충분히 즐겁지 아니한가. ⓒ erazerh


반응형

'FRAM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워와 영화평론  (15) 2007.08.07
영화평을 쓴다는 것  (2) 2007.07.29
영화  (16) 2005.10.26
앙드레 바쟁과 [엘리펀트], 그리고 또 다른 질문  (6) 2004.12.09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