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스포)

 

이건 만듦새보다는 윤리에 관한 이야기다. 영화가 클리셰 범벅이라서도, 그 범벅에 개연성이란 소스가 빠졌기 때문도 아니라는 말이다. 대개의 영화들이 따지고 보면 그 모양인데, 불쾌할 것까지야.

 

문제는 학대를 다루는 방식이다. “도박중독 양부가 한눈파는 사이에 여아 사고사, 최근 뉴스 한 꼭지의 제목이 아니다. 이 양부는 <승리호>의 주인공 태호 씨 되겠다. , 현실세계와 달리 그는 어떤 손가락질도 받지 않는다. 열렬히 반성 중이기 때문이다.

 

영화는 명백한 방임으로 아이를 사망케 한 이 아동학대 가해자의 참회를 시종일관 어여삐 여기사측은지심을 과하게 발동해댄다. 그것도 모자라 끝에서는 죽은 아이 닮은꼴 소녀를 기어이 무당으로 만들어 가해 양부를 죄책감으로부터 영구 해방시키는 굿까지 해대는데, 거짓말 조금 보태 토할 뻔했다.

 

그러니까 아동학대 신고와 처벌과 방지가 절절한 시대에 등장한, 본격 가해 어른 살길 마련.

 

불쾌한 건 이 같은 드라마를 가능케 한 바탕으로서의 태도다. ‘부성애를 회복한 선한 엘리트따위의 히어로 자격 서사를 위해, 아동학대에 대한 영화 안과 밖의 온도 차이 정도는 아무렇지 않게 뭉갤 수 있는 무감각 말이다. 이를테면 끝--- 둔해빠진.

 

그렇게, 죽은 소녀는 자신을 죽게 만든 놈에 대한 정화의 의무마저 짊어진다. 입력된 과거 세탁 능력치가 가히 블랙홀급, , 이 영화 SF였지.

 

그러므로 결론(aka 순이의 상태) - “사망잔데요 사망은 안 했어요. 죽었는데 살아있는 거지.” erazerh

 

소녀, 정화의 아이콘. <승리호>

 

 

* ‘영화를 영화로 보라는 유의 사고회로는 오직 영화를 얕잡아볼 뿐이므로 취급을 지양합니다.

 

 

 이 글은 브런치에도 올라갑니다.

 

영화 [승리호]가 불쾌한 이유

※ <승리호>의 결말 등이 언급됩니다. :) 이건 만듦새보다는 윤리에 관한 이야기다. 영화가 클리셰 범벅이라서도, 그 범벅에 개연성이라는 소스가 빠졌기 때문도 아니라는 말이다. 대개의 영화들

brunch.co.kr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