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상실’은 도처에 널려있다. 처음이 있으면 끝도 반드시 있다는 우주 불변의 진리가 사라지지 않는 한, 사라지는 것들의 출현은 필연이기 마련이다. 사람 사이에 있어 상실은 어떤 관계가 실제적으로 더 이상 지속되지 않게 됨을 뜻한다. 그러니까 ‘당신과 나’라는 고리가 ‘떠난 자와 남은 자’로 바뀌어버리는 것. 결코 유쾌하지 않은 이 경험은, 특히나 그 원인이 누군가의 죽음으로 인한 것일 때 보다 비극적이다. 죽음의 도래는 그 필연성에도 불구하고 하나의 관계를 기억 속에 봉인해버린다는 점에서 무자비하기 때문이다. 남은 자가 ‘영원한 상실’이라는 거역 불가한 명령 앞에서 할 수 있는 일이란, 고작 슬픔을 삼키는 것뿐이리라.
물론 죽음의 일방적 통보를 도저히 용인할 수 없는 때도 있을 테다. 이를테면 가장 소중한 사람에게 닥친 불의의 죽음 같은 것. 삶의 불확실성이 최악의 상태로 표면화된 그런 경우, 극에 달한 고통과 절망은 사람이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을 넘어서기 십상이다. 요컨대 어떤 상실은, 남은 자의 남은 생마저 송두리째 상실케 한다.
영화 <기담>은 그처럼 수용 불가한 상실에 관한 이야기다. <기담>에서 인물들은 죽음이 내린 갑작스럽고 일방적인 명령을 곧이곧대로 받아들이지 못한다. 명령 불복종은 떠난 자들을 ‘지금 여기’에 복원시키고픈 욕망으로 이어지기 마련이다. 불가능에서 가능을 찾으려는 눈물 서린 그 욕망은, 마침내 산 자와 죽은 자 사이의 경계를 무너뜨리기에 이른다. 떠난 자의 귀환을 둘러싼, 말 그대로 ‘기이한 이야기.’
이처럼 <기담>은 상실이 남긴 쓰디쓴 흔적에 뿌리를 두는 영화다. 공포를 담되 단지 공포로만 수렴되지 않는 중층의 정서가 필요한 셈. <기담>이 나름대로 구축한 서스펜스적 요소는 아마도 그 정서들을 효과적으로 엮기 위한 고민의 산물일 테다. 결과적인 말이지만 그 고민이야말로 이런 장르의 영화에서 ‘흐름’을 장악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주는, 일종의 실천적 지표가 아닐까 싶다.
사실 ‘다양한 감정의 충실한 전달’이라는 과제가 비단 <기담> 앞에만 놓였던 것은 아니다. 근래 한국 공포영화들이 주로 다뤘던 내러티브 ―원혼의 복수, 그 원인으로서의 아픈 과거 등― 또한 공포감을 전달하고자 하는 노력만으로는 결코 채워질 수 없는 성질의 것이다. 하지만 그들 영화 대부분은 개별 이미지의 표정을 동위의 디제시스 시공간 안에 녹여 넣는 데 실패하지 않았던가. 군데군데 놀람의 장치를 향한 지독한 집착 탓인지는 몰라도, 공포와 그 근원 사이의 감정적 거리는 한없이 멀어져갈 뿐이었다(이른바 뜬금없는 ‘사다코의 망령’은 이제 영화용어사전에 등재해도 좋을 판이다).
<기담>이 반가운 까닭은 그런 오류를 되풀이하지 않는다는 데 있다. <기담>은 상실의 아픔과 그 확산으로서의 공포 사이의 정서적 간격이 지극히 좁은 영화다. 간격이 좁다는 말은 서로 어긋날 수도 있는 감정들이 한 덩어리로 적절하게 묶여있음을 의미한다. 이를테면 공포를 상실의 무게에 짓눌린 검붉은 자국 같은 것으로, 상실을 공포의 전이를 부르는 악성종양 따위로 자연스럽게 설명할 수 있는 정도.
정서 간 이뤄지는 이런 무리 없는 전환은 <기담>이 ‘흐름’을 통제하는 데 능숙한 영화라는 증거이기도 하다. <기담>은 개별 숏들 자체로 무언가를 전달하기보다는, 숏들을 동일 선상에 놓고는 일종의 리듬에 맞춰 흘려보낸다. 그 리듬을 지정하는 명령은 놀랍게도 ‘정교한 서사를 구축하라’가 아니라 ‘과장된 묘사를 응용하라’이다. <기담>에서의 이미지들은 누군가가 ‘말을 하지 못했기에’ 존재한다. 소중한 사람을 불의에 잃어버린 고통은 모든 할 말조차 앗아가기 마련. <기담>은 타인과의 나눔이 불가능했을 최초의 상실감을 직접 언급하는 대신, 상실감이 초래한 파국의 세계를 다양한 악몽의 형태로 과장되게 묘사하는 쪽을 택한다.
선명하게 드러나지 않았음에도 과거의 심리적 고통이 절절히 피부에 와 닿는 이유는, 그 과장이 끊기는 부분, 그러니까 묘사와 묘사 사이에서 찾을 수 있다. 긴장과 이완을 오가며 공포를 증폭시키던 리듬은 어느 지점에 이르러 호흡을 멈추고는, 극도의 외로움이 몰고 온 구슬프고도 애잔한 리듬에 마침내 자리를 내어준다. 꿈에서 깨는 순간이자, 상실의 애통함이 현실에서 다시금 환기되는 지점이다. ‘쓸쓸하구나’라는 마지막 대사는, 꿈에서 깼을 때 읊조릴 수 있는, 아마도 유일한 말일 테다.
시대 자체가 ‘상실의 시대’인 한국 현대사를 배경으로 삼고도 그것을 잘 활용하지 못했다는 점은 분명 아쉽지만, 어쨌거나 순수 공포라는 관념에 상당히 근접했다는 점에서 <기담>은 충분히 주목할 만하다. 스크린에 ‘비정상’을 전시하고 놀래고 타자화하며 무섭다고 호들갑 떠는 영화들과 달리, <기담>은 상실이 낳은 비극의 입체화를 통해 평범한 일상에도 공포의 씨앗은 늘 잠재하고 있음을 상기시킨다. 삶과 죽음, 또는 기쁨과 슬픔 사이에 경계는 사실상 없으며, 확실한 것은 삶의 불확실성뿐이라는 역설. 무서움을 경유해 안타까움으로 접어들었던 <기담>이, 언제든 다시 무서운 얼굴로 돌아올 수 있는 이유다. ⓒ erazerh
반응형
'FILM' 카테고리의 다른 글
[별빛 속으로] 몹시도 꾸고 싶은 그 꿈 (6) | 2007.10.20 |
---|---|
[본 얼티메이텀] 본, 아이덴티티를 발견하다 (4) | 2007.09.29 |
[인랜드 엠파이어] 거대한 무의식 덩어리 (2) | 2007.08.03 |
단상 [밀양] (8) | 2007.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