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7이라는 기억을 상실하다

제임스 본드에게는 해야 할 일이 언제나 ‘주어진다.’ 적의 음모를 파헤치고 끝장냄으로써 세계 질서의 올곧음을 증명하는 따위의 임무. 성공리에 일을 마친 본드는 어김없이 미녀와 유유자적을 즐기지만, 사실 그 순간 진정한 포만감을 느끼는 쪽은 따로 있다. 누군가의 핏더미가 당분간 공공의 안녕을 보장해줄 거라 굳게 믿는 자들, 즉 제임스 본드가 치르는 그 모든 전투의 실질적인 명령 주체들 말이다. 그들에게 평화란 우월한 힘을 바탕으로 한 대치 상황 자체이기 마련. ‘국가안보’ 따위의 수식어는 이항대립 구조에 정당성을 입히기 위해 동원되는 공공적 포장지에 가깝다.

요컨대 첩보원 제임스 본드는 그 욕망들이 꿈꿔낸 궁극의 인간병기, 나아가 일종의 로망이라 할 수 있다. ‘국가’라는 이름의 무게를 매력적인 백인남성이 짊어짐으로써, 실재할 법한 모든 위험요소가 활극의 재미 차원으로 환원되는 셈이다. 모르기는 해도 아름다운 본드걸과 기상천외한 첩보도구 못지않게, 국가가 부여한 007이라는 살인면허 또한 본드에게는 꽤나 자랑스러운 것이었을 테다.

그리고 이제 ‘본 시리즈’의 완결편 <본 얼티메이텀>이 여기에 도착했다. 제이슨 본. 이름과 마찬가지로, 애초에 부여받은 임무 역시 제임스 본드의 그것과 크게 다르지 않은 인물. 하지만 우리는 그를 첩보/액션 현장에서의 ‘판타지스타’로 기억하지 않는다. 태생적으로 본은 기존 첩보영웅들과는 다른 동선을 갖도록 운명지어진, 일종의 변종이자 자성의 캐릭터이기 때문이다. <본 아이덴티티>가 플롯 첫머리에 ‘기억상실’을 심어둔 그때부터, 본의 총구가 영웅담을 지향할 가능성은 전혀 없었던 셈이다. 제이슨 본이 싸워야 하는 이유는 누군가를 파괴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누군가를 파괴했음을 기억하기 위해서라는 점을 상기하자.


복합시점과 핸드 헬드, 그 두근거림


<본 얼티메이텀>에서 본은 마침내 그 기나긴 싸움을 끝낼 기회를 잡는다. 과거를 영원히 묻으려는 자들의 파상공세를 어떻게 뚫느냐가 관건. 보다 신속․정확해진 디지털망으로 무장한 그 공격들은, 마치 무수히 뿌려진 점들처럼 촘촘하며 또 긴밀하기까지 하다. 단 한번의 실수조차 본에게는 사치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보다 민첩하면서도 섬세한 움직임을 갖추지 않을 수 없는 노릇. 그러니까 이렇게도 말할 수 있다. <본 얼티메이텀>은 ‘제이슨 본의 동선이 그를 죄여오는 점들 사이를 어떻게 헤쳐나가 목적지에 도달한 것인가’에 관한 영화라고.

점과 선. 이 1차원적 요소를 전율 가득한 입체로 탈바꿈시킨 공은 명백히 촬영과 편집의 몫이다. 폴 그린그래스 감독은 <본 슈프리머시>에 이어 이번에도 히치콕이 말한 정서적 참여의 원칙, 즉 “서스펜스는 관객이 위험을 알고 있을 때 발생한다.”를 연출의 토대로 삼은 듯하다. 예컨대 생사의 갈림길에서 긴박한 리듬을 타고 면밀히 엮이는, 쫓기는 자의 시점과 쫓는 자의 시점 같은 것. 다급하게 교차되는 이 복합시점은 헨드 헬드 숏의 두근거림과 맞물려서는, 관객을 순식간에 긴장과 불안의 중심으로 이동시키는 ‘마술적 효과’를 발휘하기에 이른다. 마치 차들이 내 앞뒤좌우로 씽씽 다니는 신호등 없는 사거리 한 가운데에 던져진 듯, 현기증 나는 전율로 빠져들게 되는 이유다. 긴장이 팽창해가는 과정 하나하나를 날 것 그대로 전달할 줄 아는 이 카메라 놀림과 치밀한 편집은, 또 하나의 고유한 ‘서스펜스 공식’으로 불려도 손색이 없을 정도.

영화 후반부. 제이슨 본은 그 모든 공격을 뚫고는 잃어버린 기억과 마침내 마주한다. 하지만 여기서 확인되는 감정은 승리의 기쁨이 아니라 허탈함이다. 살기 위해 다른 사람을 죽이기도 했고 사랑하는 사람을 잃기도 했던 비극을 쉽사리 떨치기는 힘들 터. 그럼에도 본의 기나긴 싸움에서는 어떤 진정성 같은 것이 베어 나온다. 위선과 몰이해와 분노 따위가 맞물려 빚어내는 ‘적 만들기.’ 곳곳에 산재된 그 파괴력을 돌파해낸 힘의 근원이, 윤리적으로 올바른 그의 태도와 그 태도를 담아낸 묵직한 일관성에 있기 때문이다. 말하자면 제이슨 본의 진짜 아이덴티티는 ‘과거의 나’를 만나면서부터가 아니라 기억을 잃은 그때부터 출현한 매순간의 ‘지금 여기의 나’를 통해 꾸준히 형성되어온 셈이다. 이것은 일종의 ‘성장’이라 할 수 있다. 물론 영화가 끝났다고 해서 그의 성장이 멈추지는 않을 터, 앞으로 본에게 떨어질 지령들은 그래서 자못 흥미롭다. 이를테면 첫째, 죽인 사람들의 ‘이름도’ 기억할 것. 둘째, ‘본 아이덴티티’를 잊지 말 것. ⓒ erazerh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