업그레이드 된 공공의 적, 업그레이드 되지 못한 통쾌함


전편 <공공의 적>이 ‘재미있었던’ 이유로는 개성 넘치는 조연들의 걸쭉한 욕지거리나 에피소드들 속 자잘한 유머 등을 들 수 있겠지만, 무엇보다도 캐릭터와 캐릭터 간 충돌, 선 굵은 남성적 대립 구도가 갖는 흡입력을 빼놓고 얘기할 수는 없을 것이다.

<공공의 적>의 강철중 형사(설경구)는 <투캅스>시리즈에 등장한 안성기, 박중훈, 김보성의 얼굴을 동시에 지닌 캐릭터다. 부패에 적당히 빠져있지만 정작 불의라 생각되는 것은 참지 못하며 성격 제어와 조직 섭리에 익숙하지 않은 다혈질이다. 또한 그는 “형이 오늘은 기분이 괜찮거든?”이라는 멘트로 동네 깡패들에게 묵직한 주먹을 선사하는, 서민적 우직스러움에 근거한 반영웅의 이미지로 그려지기도 한다.

따라서 그의 분노가 조규환(이성재)을 내려칠 때, 세련미와 도시적 이미지로 치장된 근친살해범은 서민적 정서에 의해 통렬한 최후를 맞는 셈이다. 관객의 카타르시스는 강철중의 주먹 끝에서 그 정점에 다다르며 거기에서 <공공의 적>은 매력을 발산한다. 영화는 강철중과 마찬가지로 거칠고 투박하지만 관객이 대리만족할 수 있는 지점을 명확하게 제시할 줄 안다.

<공공의 적>은 마초적 남성들의 갖가지 허영이 난무하던 조폭영화 계보 옆에 서서는 그것에 종지부를 찍는 영화다. 지겹도록 동어반복되던 조폭의 잡설과, 결투라는 내러티브가 갖는 이분법적 구도를 뭉뚱그려 관객 보편의 심리에 통쾌하게 화답하는 것, 그것이 강우석 감독이 의도한 전략이었다.


강우석 감독은 <공공의 적2>를 통해서는 사회 전반적인, 보다 ‘공공의 적’에 걸맞은 캐릭터를 창조하고자 한국사회의 뿌리 깊은 병패인 정경유착을 그 소재로 채택한다. 따라서 강철중은 좌충우돌 형사에서 말쑥한 정장을 빼입은 꽤 유능한 검사로 업그레이드되어 돌아온다.

1편과 마찬가지로 강철중이라는 캐릭터가 갖는 힘은 강렬하다. 그는 여전히 악랄함에 분노할 줄 알며 자신의 신념에 모든 것을 걸 만큼 용기 또한 간직하고 있다. 외부 압력에 흔들리는 조직에 “나쁜놈 잡지 못하는 검사가 무슨 소용이냐”며 소신론을 설파, 주변인들의 각성을 끌어내기도 한다.

전편의 강철중은 여기까지다. 2편의 강철중은 강력한 주먹을 내세우지도, 화려한 미사어구가 동반된 걸쭉한 욕을 구사하지도 않는다. 호화롭게 펼쳐지는 동창회에 가서 ‘삼겹살에 소주’를 그리워하며 소시민적 대사를 읊기는 하지만 대한민국 검사의 직업적 윤리관을 줄곧 입에 담고 정의사회 구현에 온 몸을 내던지는 그는 어디까지나 ‘검사’ 강철중이다.

물론 좀 더 커다란, 배후가 든든한 공공의 적 한상우(정준호)와 대면하기 위한 불가피한 선택이었겠지만, 깡패를 후박하게 어루만지고 조규환에게 무자비한 주먹을 선사하던 형사 강철중과는 달리 검사 강철중은 그리 속 시원한 결정타를 날려주지는 못한다.

이는 강우석 감독은 대리만족보다는 수년간 뉴스를 장식해온 보다 강력한 공공의 적, 정경유착의 비리를 법이라는 이름으로 접근하는 데 주목하기 때문이다. 나사 몇 개 빠진 듯한 동네 형사의 좌충우돌 활약상 대신 국민이 바라마지 않는 소신 있는 검사 강철중, 그리고 대한민국 헌법이 전면에 등장한 것은 어쩔 수 없는 전략인 셈이다.


영화는 1편과 마찬가지로 그리 매끈하지는 못하다. 플롯의 개연성과 응집력은 떨어지며, 평면적이고 전형적인 캐릭터들과 그들의 관습적인 대사가 태연하게 화면을 수놓는다. 전편이 마치 잡초에서 생명력을 발견하듯 그 세련되지 못함을, 작위적인 인물 설정을 관객의 분노를 결집하는 에너지로 사용했다면 <공공의 적2>는 정제되지 못한 플롯들을 주로 ‘바람직한 검사상’을 제시하는 차원에서 활용한다.

따라서 길에 담배꽁초 버리지 말라고 웃으며 충고하는 환경미화원 할아버지를 차로 받는 것도 모자라 “천하면 분수라도 알아야지, 영감”이라며 패륜적 멘트마저 남겨 놓는, 그 천인공노할 면상에 사정없는 펀치를 날려주었으면 좋겠다는 바람은 애초에 요원한 것이 된다. <공공의 적2>는 전편처럼 강력한 직격탄 한방은 날리지 못하지만 어쨌든 ‘이 시대 대중이 원하는 검사’를 그려내는 데는 성공한다.

만약 극장문을 나서면서도 개운한 기분을 느낄 수 없다면, 그것은 아마도 기대했던 통쾌한 한방 대신 저열한 거대자본 시스템을 앞에 두고도 껍데기만 벗기고 마는, 밋밋한 마무리를 구경하고 온 탓일 것이다. 영화보다도 몇 배는 시시한 현실 속 검사님들의 초라한 활약상이 슬쩍 오버랩될 때 느껴지는 씁쓸함은 그 다음이다. ⓒ erazerh


반응형

'FILM'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이드웨이] 인생의 샛길에서 느끼는 와인의 향취  (12) 2005.02.21
[쏘우]  (8) 2005.02.03
[쿵푸 허슬]  (12) 2005.01.23
[뉴 폴리스 스토리] 홍콩경찰로 다시 돌아온 성룡  (10) 2005.01.1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