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현의 이전 대사들과 궤를 달리하는 한마디. “언제는 귀엽다며, 이 씨발년아.”가 불쑥 튀어나왔을 때, 나는 적잖이 놀랐다. 영화가 이질적인 무엇으로 분화하기 시작했다는 선언과도 같은 그 대사가, 나아가 관객의 예정된 불평에 부치는 박찬욱의 변(辯)처럼 들리기도 했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언제는 거장이라며, 이 관객님들아.’

나는 진심으로 궁금하다. 왜 박찬욱은 잘 나가던 내러티브를 작정하고 일그러뜨렸을까. 서로 다른 두 개(또는 세 개)의 박찬욱표 영화가 위태로이 엉겨 붙은 듯한 이 구조를 어떻게 받아들여야 하나. 송강호는 한 인터뷰에서 이 불균질과 관련해 살바도르 달리의 그림을 언급한 바 있다. 하지만 달리의 그림은 경직된 현실에 틈을 내고 그 틈을 통해 어떤 관념이 흐르도록 만들 뿐, 그 자체로 불균질을 지향하지는 않는다.

어찌됐든, 너무 기괴한 나머지 아름답기까지 한 몇몇 시퀀스에도 불구하고 ‘복수는 나의 것 > 올드보이 > 친절한 금자씨 > 박쥐’라는 느낌은 지우기가 어렵다. 불친절해서가 아니라 납득할 만한 ‘불친절의 당위성’을 아직 찾지 못한 탓이다. 그렇다고 지금 당장 ‘악취미’의 향연 따위를 원인으로 규정지을 수도 없는 노릇. 그것은 박찬욱에게서 이미 성취한 자의 과시욕을 읽어야 하는, 조금은 가슴 아픈 일이 될 테니. 설마 박찬욱이 <로스트 하이웨이>를 두고 본인이 했던 말, 즉 “자기 자신의 모티브들을 재탕 삼탕 우려먹는 안이함. 미완성 각본으로 폼만 잔뜩 잡는다.”를 몸소 실행했을까. 일단은, 조금 더 고민해보자. ⓒ erazerh


# 박찬욱의 영화 중 가장 사랑스러운 건, 누가 뭐래도 <삼인조>다. 그 아름다웠던 언어유희.


반응형
수영장 물 속에서 숨을 참고 있는 소년. 점점 한계가 다가온다. 밖으로 나가고 싶기는 한데 그의 머리를 짓누르는 우악스러운 손이 그것을 허락할 리 없다. 평소 자신을 괴롭히던 녀석에게 본때를 보이기는 했지만, 그 대가로 목숨을 지불하게 생긴 것이다. 그때 마침 소녀가 나타난다. 그리고 몇 초나 지났을까. 소년을 괴롭히던 동작이 모두 멈추는 데는. 소년의 머리를 누르던 팔은, 녀석들의 목과 허리는, 그렇게 부지불식간에 두 동강이 나고 말았다.


이 사지절단식 살육 시퀀스는, 그러나 심심하다 싶을 정도로 간소하다. 사건 자체가 잔혹하거나 말거나 이미지와 사운드가 그것을 ‘전시’하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유혈은커녕 외마디 비명조차 없다. 시체들은 그저 짧은 풀숏 안에 무심히 던져질 뿐인데, 그조차 서로를 맞이하는 소년-소녀의 묘한 미소 뒤편으로 밀려난다. 이런 식이다. <렛 미 인>에서는 죽이고 죽는 행위가, 이를테면 공포나 액션 카테고리에 추가될 만한 ‘스틸샷’ 정도로 소비되지 않는다. '소녀 뱀파이어'에서 상상될 법한 장르적 쾌감이 존재할 리 만무하다.

대신 여기에는 그럼으로써 도드라지는 어떤 ‘관계’가 있다. ‘너도 정상적인 십대는 아니구나.’라는 호기심에서 출발한, 소년-소녀의 은밀하되 공고한 결속. 그것도 불온하기 짝이 없는. 이는 확실히 다른 (공포) 영화들에서는 만나기 어려운 성격의 연대(連帶)다. 시스템 바깥에 놓인 자들은 단지 ‘괴물’로 다뤄지기 십상인데다, 그것이 가장 흥미진진한 전개라고 곧잘 믿기기 때문이다.

<렛 미 인>은 그런 선정적인 제스처를 포기함으로써 타자화 되기 이전의 소년-소녀를 기어이 불러낸다. 어떤 ‘의미’를 끌어내기 위해서가 아니라 ‘존재’ 그 자체에 주목하기 위함이다. 따라서 두 아이의 관계에 대한 영화 안팎의 모든 판단은 유보되는 것이 마땅하다. 물론 녀석들이 달콤한 연애를 할지, 종속적인 계약에 머물지는 그 누구도 알 수 없겠지만. 그래도 한 가지 명백한 사실이 있기는 하다. ‘괴물’로 알려진 자들의 본연 또한, 더도 덜도 아닌, 그저 ‘생존하기’였다는 것. 조금 더 쓸쓸하게. ⓒ erazerh




반응형

+ Recent posts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