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상(日常)이 일상일 수 있는 이유는, 우리가 그 일상에 소속돼 있기 때문이다. 스쳐지나가면서, 또는 그 안에 머무르면서, 그렇게 우리는 최소한 발 하나는 담근 모양새로 일상을 지탱하고 지탱하다 그 관성으로 대개는 지탱을 멈출 수 없는 지경에 놓인다. 지금은 이 지탱들이 수집되고 DB화되기까지 하는 시대다. 적막한 버스 안을 울리는 '환승입니다-환승입니다-학생입니다'와 같은, 내 경로와 위치와 소속에 관한 증명의 라임들. 이때 일상은 곧 시스템이 된다.

 

태도의 전환. 소속감을 잠시 벗어던지고 관찰자의 입장에서 느끼다 보면, 곧잘 이 일상의 시스템은 희극과 비극의 경계적인 장소가 되곤 한다. 출근시간의 지하철 개찰구를 부감숏으로 잡는다고 생각해보자. 쉴 세 없이 이어지는 삐비빅 소리와 거기에 맞춰 우르르 밀려 쏟아지는 남녀노소. 곧 죽을 줄 알면서 일터로 향하는 같은 표정의 실사판 SCV들, 피로(疲勞)의 톨게이트. 이 부감의 광경은 희극일까 비극일까.



단편영화 <Angst>는 이 같은 관찰자의 시선으로(만) 러닝타임 3분 40초를 모두 채운다. 카메라는 주차장, 건물의 외벽, 골목, 긴 복도, 다리 밑 등을 (때로는 훔쳐보는 듯한 위치에서, 때로는 그늘을 강조한 저노출로) 단지 가만히 서서 응시한다. 여기에 미세한 줌인이나 긴박하고 묵직한 사운드 등의 효과가 더해지며 영화 속 일상적 공간은 마치 시스템-배반적인 누군가에 의해 훑어지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물론 우리는 그 공간들을 이런 식으로 경험하지 않기 때문에 영화 속 시선은 희비극의 차원을 넘어 점점 더 불온한 무엇이 되어간다. 우리 외에 살아있는 어떤 존재, 모종의 계략. 그러나 이 불안감이 사건 자체를 일으키지는 않으므로 <Angst>의 이미지들은 결국 설명 불가능한 흔적으로만 남게 된다. 이때 설명 불가능함에 들러붙어 이 흔적을 구체적 형상으로 만드는 것은 바로 일상을 위협하는 실재들 ― 시스템 내부에 도사린 불안 요소든 시스템을 노리는 외부의 무엇이든, 일상을 순식간에 무력화하는 바로 그것들 ― 이다. 영화가 남긴 괄호를 채우는 건 늘 현실이 학습시킨 경험 아니었던가.

 

요컨대 일상이 불안한 이유는 첫째, 거기서 발 뺄 수 없음, 둘째, 일상의 행복을 덮을 만큼 일상의 피로함이 크다는 점, 셋째, 일상-시스템을 언제든 찢어버릴 수 있는 저 도사리는 실재들 때문인 셈이다. ⓒ erazerh


 experimental short film <Angst> by Dennis Didinger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