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번 볼 때와 두 번 이상 볼 때의 느낌이 크게 다른 영화가 종종 있다. 케이블에서 다시 만난 <미스트>가 꼭 그렇다. 뭐랄까. 슈퍼마켓에 갇힌 군상의 행태를 향했던 내 관심이 이번에는 그들이 거기 갇혔다는 상황 자체로 옮겨졌구나, 싶다. 인간과 자연의 관계가 얼마나 부조리한지에 관한 이 기가 막힌 플롯을 예전에는 왜 못 알아봤을까. 요컨대 여기에는 ‘사람 > 자연’이라는 공식의 완전한 ‘역전’이 있다. 이를테면 ‘사람 < 자연.’ 지구라는 공간을 참 오래도 점령해온 인간계가, 영화에서는 ‘안개를 동반한 어떤 세계’로 재현된 셈이다. 슈퍼마켓에 갇힌 사람들의 처지에서 인간계 바깥으로 밀려나버린 현실의 존재들이 감지되는 것은 그래서다. 마찬가지 이유로, 안개 너머로 들어가면 죽어야 하는 영화 속 설정과 인간 세상으로 넘어오면 죽어야 하는 영화 밖 현실은, 무척이나 닮았다.

한정된 공간을 수직적인 관념으로 나누는 일은 늘 누군가를 지워버리기 마련이다. 공간에 스민 권위가 공간의 물리적 크기는 물론 개체수마저 임의대로 결정짓기 때문이다. <미스트> 끝 무렵에 등장하는 거대한 생명체는, 아마도 인간 고유의 그 전지전능함이 영화적 상상력으로 나타난 것이리라. 동시에 녀석의 발밑에는 너무 놀라고 두려워 도망칠 엄두조차 못 내는 사람들이 놓이는데, 이로써 현실의 ‘위압적인 것’과 ‘초라한 것’에 관한 오롯한 상하반전 숏이 완성되는 셈이다. 말 그대로 ‘역지사지의 구도.’ <미스트>가 부조리한 실재를 경유하는 판타지임은 바로 이 숏에서 가장 선명하게 드러난다.


멧돼지가 나타났다고 호들갑을 떨거나 ‘도둑’ 고양이가 동네를 더럽힌다고 구시렁거리는 따위의 목소리에 나는 동의하지 않는다. 그들이 쉴 곳을, 먹을 것을, 줄기차게 빼앗은 것이 바로 우리이기 때문이다. 공간에 얽힌 힘의 불균형은, 이렇듯 끝날 기미가 안 보이는데다 그로 인한 부작용이 인식조차 안 되고 있다는 점에서 특히나 끔찍하다. 더욱이 마치 지금까지는 안 그래온 양 이제는 제대로 힘써보자고 국가가 주도하는 판이다. 누군가 말한다. 산을 깎고 강을 통제하면 모두가 잘되는 ‘녹색성장’이 올 거라고. 동족마저 속이려는 이 삼류 말장난에 비하면, <미스트>의 괴물들은 차라리 자비롭기가 부처님 수준이다. 안타깝지만, 현실은 늘 영화보다 끔찍하다. ⓒ erazerh


반응형

+ Recent posts